9월8일(수)부터 오클랜드를 제외한 모든 지역 레벨 2

오늘 뉴질랜드 총리 자신다 아던은 오클랜드를 제외한 뉴질랜드 전 지역의 코로나19 경고 레벨을 9월8일 수요일부터 레벨 3에서 레벨 2로 낮춘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뉴질랜드 확진자는 금일 기준 전체 821명, 신규 확진자는 20명 입니다.

주로 오클랜드에서 지역 확진자가 계속 발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노인병원에서 확진자가 발견되어 확산과 사망자 증가의 우려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락다운의 효과로 오클랜드와 웰링턴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추가 확진자가 발견되지 않으면서 경고 레벨을 낮추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 동안 문을 닫았거나 제한적으로 영업을 하던 사업장들과 학교들이 정상 오픈하게 됩니다. 학교는 목요일부터 등교를 시작합니다. 12세 이상 학생들은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됩니다.

실내에서는 최대 50명까지 실외에서는 최대 100명까지 모임을 가질 수 있으며 QR코드나 방문지 기록은 의무입니다.

타우랑가에서는 지난주 레벨4에서 레벨3로 내려가자마자 맥도날드와 KFC를 비롯한 많은 패스트푸드 음식점에 기다리는 사람들로 긴 차량 행렬이 만들어 졌습니다. 레벨2로 내려가면 레스토랑에서 식사가 가능해 지면서 쇼핑몰과 식당에 많은 사람들이 방문할것으로 보입니다.

레벨 2에 지켜야할 규칙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정부 공식사이트를 방문하세요.

https://covid19.govt.nz/alert-levels-and-updates/alert-level-2/#what-we-all-need-to-do-at-alert-level-2-to-stay-safe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