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우랑가 유학생 대거 귀국 예정

최근 뉴질랜드 정부는 오클랜드 지역의 코로나 경고 레벨 3을 2주 더 연장한다는 발표를 했습니다. 다음 정부의 레벨 변경여부는 10월4일에 발표됩니다.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코비드19) 사태와 락다운으로 타우랑가로 유학을 온 학생들이 제대로된 교육을 받지 못하면서 이에 실망한 많은 한인 유학생들과 부모들이 이번 학기가 끝나는 연말과 내년초에 대거 한국으로 귀국한다고 합니다.

작년에도 많은 가정이 돌아갔지만 이미 학비를 지불했거나 상황이 나아질 거라는 기대를 가지고 남아있던 유학생들도 상황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자 귀국을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생활물가와 비자비용으로 뉴질랜드 유학에 대한 열기가 사그러들게 될것으로 예상되면서 앞으로 타우랑가로 영어공부를 하러 오는 유학생의 숫자도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환율이 상승하고 렌트, 학비, 비자 비용도 증가하면서 차라리 호주로 유학을 가는것이 낫지 않는가 하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호주는 거리상 뉴질랜드보다 한국에서 더 가깝고 호주로 유학을 가면 세계에서 인정받는 호주대학 진학에도 유리하고 각종 편의시설이나 여행할 기회도 더욱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한인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업체들은 최근 코비드로 인한 인력난에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비지니스 환경까지 더욱 안좋아질것으로 전망되면서 미래가 더욱 불투명해지고 있습니다.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