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렌트 부족 심화

뉴질랜드 렌트 집 부족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클랜드에서 방 두 칸짜리 집의 경우 주당 500불 대의 집들은 경쟁이 치열해 신청자가 많아 바로바로 계약되고 있으며 600불대도 쉽게 구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1년치로 계산하면 침실 두개짜리 집을 임대하려면 한화로 약 2천500만원이 필요합니다. 문제는 오클랜드 같은 대도시가 그나마 사정이 낫다는 것 입니다. 모든 지방에서 렌트비가 급속도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최근 비슷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호주나 영국, 캐나다에서는 정부에서 나서서 유학생 숫자와 이민자 숫자를 축소하고 있지만 뉴질랜드 정부는 아직 아무런 대안을 발표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번 우파연합 정부는 일단 공무원 정리해고와 같이 감세에 초점을 두고 비용절감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새롭게 가족을 이루고 아이를 출산하는 젊은 부부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아이 출생시 집주인들이 세입자로 선호하지 않는데다가 아이가 어릴 경우 맞벌이가 쉽지 않아 수입이 부족해 렌트비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홀벌이 가정의 경우 렌트비가 수입의 50~60%가 넘는 경우도 많습니다. 최저임금을 받을 경우 렌트비를 내면 생활이 불가능합니다.

많은 뉴질랜드 시민권자들이 좌절하고 호주로의 이민을 선택하고 있고 한인들도 많은 숫자가 한국으로 역이민할 것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원인은 치안 불안, 높은 물가, 호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그리고 집값과 렌트비 상승입니다.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