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피버로 고통을 겪는 한인 적지 않아

뉴질랜드는 깨끗한 자연환경과 청정국가라는 이미지로 잘 알려져 있어 많은 한인들이 조기유학이나 이민을 선택하는 나라입니다. 그러나 막상 도착해 생활을 시작하면 예상치 못한 어려움 중 하나가 바로 ‘헤이피버(계절성 알레르기성 비염)’입니다. 뉴질랜드에서 생활하는 한인들에게 헤이피버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건강과 생활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입니다.

한국에서 전혀 알레르기 증상이 없던 사람조차 뉴질랜드에 오면 꽃가루 알레르기를 처음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뉴질랜드 특유의 기후와 식생 때문입니다. 특히 봄과 여름철에 대량으로 발생하는 잔디 꽃가루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실제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엘니뇨(El Niño) 현상이 나타나는 해에는 오클랜드를 비롯한 북섬 지역에서 꽃가루 시즌이 더 길고 강해진다고 밝혀졌습니다. 맑고 건조하며 바람이 많이 부는 날씨가 꽃가루 생성과 확산을 촉진하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건초열, 천식, 알레르기 결막염 등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조기유학 온 학생들 사이에서도 수업 중 눈과 코가 가렵고 재채기를 멈추지 못해 집중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일부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콧물과 코막힘에 시달려 공부뿐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밖에 나가서 조깅을 하거나 운동을 하는 것조차 힘들어, 활동이 제한되는 사례도 있습니다.

이민 초기 적응 단계에서 이런 알레르기는 심리적 부담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한국에서는 알레르기와 무관하게 생활하던 사람들이 갑자기 낯선 환경에서 알레르기 증상으로 고생하게 되면, 건강뿐 아니라 생활 만족도에도 큰 영향을 받습니다.

전문가들은 뉴질랜드가 아직 전국적인 꽃가루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지 못했다고 지적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예보나 정보 부족으로 인해 이민자나 유학생들이 더욱 대비하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니냐(La Niña) 해처럼 비가 자주 내리는 시기에는 꽃가루가 씻겨 내려가 알레르기 시즌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어, 해마다 증상의 정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른 글들

헤이피버로 고통을 겪는 한인 적지 않아

뉴질랜드는 깨끗한 자연환경과 청정국가라는 이미지로 잘 알려져 있어 많은 한인들이 조기유학이나 이민을 선택하는 나라입니다. 그러나 막상 도착해 생활을 시작하면 예상치 못한 어려움 중 하나가 바로

Read More »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