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부모 초청비자 다시 열려

Tristan Le님의 사진: https://www.pexels.com/ko-kr/photo/1642883/

뉴질랜드 정부는 스폰서가 미디안 임금 이상을 받을 경우 부모를 초청할 수 있는 비자를 새로 신설했습니다. 기존 국민당 정부 시절 부모초청 비자는 스폰서에게 요구되는 수입이 너무 높아 부자만 가족을 데려올 수 있는 여건이 되어 많은 이들의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부모를 초청하기 위한 스폰서의 임금 조건이 뉴질랜드 평균 임금으로 낮춰지고 초청하는 부모의 숫자에 따라 금액이 1.5배씩 증가하게 됩니다.

많은 한인들이 자녀의 교육을 마친 후 한국으로 돌아가고 있는 이유로 첫번째는 한국에 있는 가족와 친구, 두번째는 한국의 세계 최고수준인 의료접근성을 꼽고 있습니다. 이번 조치는 이민자들이 뉴질랜드에 제대로 정착할 수 있도록 가족과 함께 이민을 올 수 있도록 현실적인 조건을 낮춘 것으로 일할 노동력만 해외에서 가져오는게 아니라 그 노동자를 진심으로 뉴질랜드에서 받아드린다는 취지에서 환영 받을만한 조치인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민성 페이지를 확인하세요.

https://www.immigration.govt.nz/new-zealand-visas/apply-for-a-visa/about-visa/parent-resident-visa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