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우랑가 겨울 온도 작년보다 낮아

최근 타우랑가에서는 아직 가을이 지나고 겨울이 오지 않았는데 낮기온이 예년보다 뚝 떨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월동 준비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벌써부터 여름 동안 사용하지 않던 히터를 꺼내고 전기세를 절약할 방안을 찾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세가 많이 올라 가정에서 부담해야 할 요금이 증가하면서 서민 가정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집은 온화한 바깥 날씨로 인해 보온이 뛰어나지 않아 한국에서 온 많은 유학생 가족들이 잘때 보온텐트나 전기장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난방시설 역시 한국과 같은 가스보일러를 통한 온돌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 집은 없습니다. 최근 전기패널을 바닥에 설치하는 한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나무집의 특성상 높은 열을 받으면 변형될 수 있어 널리 보급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많은 한인들이 집밖보다 집안이 더 춥다며 추위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는 아직도 나무 난로를 사용해 집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가구들이 많습니다. 청정 뉴질랜드에서 이런 난방 방식이 자연 친화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많아 정부는 전기 난방 방식을 권유하고 있지만 한국보다 훨씬 비싼 전기세 때문에 그렇게 큰 호응은 얻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뉴질랜드 일반가정의 전기세는 코로나 전 4인가구 기준 약 월 300불로 한화(800원 기준) 24만원 정도였습니다. 코로나 후 물가 상승으로 요금이 그것보다 더 올랐으며 이번 겨울은 더 추울 것으로 예상되면서 월 40만원 이상을 전기세로 지출하는 가정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