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폭우로 도로나 산이 붕괴되 피해 커

도로 옆 산이 붕괴된 모습

계속되는 폭우로 타우랑가 주변도로가 붕괴되거나 주변 산이 무너져 내려 교통이 통제되는 지역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복구에 최선을 다 하고 있지만 인력과 장비의 한계로 완전한 복구까지 시일이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 당국은 가장 도로피해가 큰 코로만델에 복구인력을 투입하고 있으며 여행객들에게 코로만델에 가지 말것을 권고했습니다. 만약 가게 되면 고립될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매번 수해마다 문제가 발생하는 지역의 경우 지역 주민을 철수시키는것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테임즈에서 코로만델을 따라 올라가는 해안도로의 경우 길의 폭이 매우 좁고 낭떠러지와 연결되어 있어 평상시에도 운전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지역이 많은 지역입니다. 반대쪽 와이히에서 핫워터비치까지 올라가는 길과 동과 서를 연결하는 길도 산을 지나는 구간이 많아 평소 운전에 자신이 없는 운전자들은 기피하는 지역이었습니다.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