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인도인 영향력 확대될 전망

Photo by Studio Art Smile

앞으로 뉴질랜드 사회에서 인도인의 영향력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 이후 다른 나라로 이주하는 저임금 노동자의 비율이 전세계적으로 급감했습니다. 영어권 국가들이 이민자를 경쟁적으로 받기 시작하면서 최근 이민 문턱을 높힌 뉴질랜드의 이민자수는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그 속에서 인도인 이민자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정부 통계에 의하면 2022년 3월 뉴질랜드에 새롭게 이민을 온 이민자는 약 22,200명이고 그중 인도인이 3500명으로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했습니다. 2위는 호주, 3위는 중국, 4위는 필리핀 그리고 5위는 영국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반면 이민을 떠난 숫자는 약 20,100명으로 중국 이민이 57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인도, 영국, 호주, 미국 순으로 이민을 떠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도의 경제가 성장하고 있고 출산율이 감소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인도인의 이민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당분간은 인도인의 비중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미 뉴질랜드 사회에서 관리자급으로 승진한 인도인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인도인이 없으면 물류서비스가 마비될 정도로 뉴질랜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는 뉴질랜드 사회에서의 인도인의 위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