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세금 실제론 매우 낮아

Photo by Pixabay: https://www.pexels.com/photo/calculator-and-pen-on-table-209224/

많은 뉴질랜드 한인들이 뉴질랜드 소득세가 높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론 매우 낮은 편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OECD 2022년 데이터에 따르면 뉴질랜드는 전체 OECD 가입국 38개국 중 소득세 평균이 36위로 매우 낮았습니다. 뉴질랜드보다 더 낮은 나라는 칠레 콜롬비아 뿐인데 그 두 나라는 통계가 제대로 조사되지 않는 국가들로 실질적으로 제대로 조사하는 국가 중 뉴질랜드 소득세가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가장 소득세를 많이 내는 국가는 벨기에로 나타났고 뉴질랜드의 이웃 국가인 호주도 3위로 조사되었습니다. 한국은 뉴질랜드보다 3단계 높은 33위로 나타났습니다. 많은 한인들이 뉴질랜드가 한국보다 세금이 높다고 오해하고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며 한국이 약간 더 높은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뉴질랜드는 최고 소득세율 구간이 39%부터 시작하지만 한국은 지방세까지 합치면 거의 50%에 육박하는 수준입니다.

한가지 더 주목해야 할 점은 아이가 없는 싱글일 경우와 마찬가지로 아이가 둘 있는 커플 홀벌이 가정의 경우 역시 전체 국가 중 36위를 기록 했다는 점 입니다. 뉴질랜드는 소득세도 적게 내고 아이양육에 따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세금환급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 입니다.

뉴질랜드는 상속세와 증여세가 없어 전세계에서 재산을 상속하기 가장 좋은 나라 중 하나인데 이번 조사로 소득세에 대한 오해까지 풀리면서 뉴질랜드가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가장 살기 좋은 국가 중 한 곳인 것으로 밝혀진 것 입니다.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