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우랑가 CBD 빈상가 늘어나

타우랑가 CBD

타우랑가 중심업무지구(CBD)는 최근 빈상점, 부랑자, 인식 문제로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타우랑가에 베이페어와 크로씽 두 커다란 쇼핑몰이 생긴 이후 구도심은 빈 비즈니스와 건설로 인해 멀리해야 할 곳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며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주차난을 완화하기 위한 주차 및 승차 시스템, 소매업에 대한 상가임대료 감면, 숙박업에 대한 라이센스 요금지불 보류 등이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타우랑가 CBD의 범죄는 사실 하루이틀 일은 아닙니다. 차량을 야간에 세워놓으면 미러가 깨지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고 현재 타우랑가 전지역에 걸쳐 발생하는 차량 파손 및 도난 사건들에 타우랑가 CBD도 자유롭지 못합니다. 최근에 범죄와 반사회적 행동의 증가로 인해 사업주들은 직원들에게 경보를 발령하고 혼자 걷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경찰 순찰을 늘리고 마오리족 보안관을 배치해 치안 유지에 힘쓰는 ‘바비 온 더 비트’ 제도를 재도입해야 한다는 요구도 있습니다.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