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워킹홀데이비자 신청가능

뉴질랜드 이민성은 5월17일부터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30세 이하 청년들이 지원할 수 있는 워킹홀리데이 비자 신청을 재개 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뉴질랜드는 저임금 노동자들이 부족해 농장, 공장, 요식업, 관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력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의 변종인 오미크론이 중증화율이 낮은것으로 밝혀지면서 전세계 각국이 국경을 다시 개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뉴질랜드도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타우랑가는 뉴질랜드 키위 최대 생산지로 농장과, 팩킹 공장, 냉장보관소 등이 밀집해 있어 이번 정부의 결정으로 구인난의 숨통이 트일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코비드19 팬데믹 기간 최저임금보다 높은 임금을 주고도 사람을 구할 수 없어서 태평양 섬나라에서 임시비자를 발급해 인력을 수급해왔습니다.

얼마 만큼의 한국인이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신청해 뉴질랜드를 방문하게 될지는 예상할 수 없지만 한인이 운영하는 비지니스에도 일정 정도 도움이 될것으로 예상됩니다.

워킹홀리데이 비자 신청은 아래 이민성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https://www.immigration.govt.nz/new-zealand-visas/options/work/thinking-about-coming-to-new-zealand-to-work/working-holiday-visa

워킹홀리데이 관련 뉴질랜드 현지 정보는 카카오톡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taurangahanin.info/%eb%8f%84%ec%9b%80%ec%9d%b4%eb%90%98%eb%8a%94-%ed%86%a1/https://taurangahanin.info/%eb%8f%84%ec%9b%80%ec%9d%b4%eb%90%98%eb%8a%94-%ed%86%a1/

다른 글들

헤이피버로 고통을 겪는 한인 적지 않아

뉴질랜드는 깨끗한 자연환경과 청정국가라는 이미지로 잘 알려져 있어 많은 한인들이 조기유학이나 이민을 선택하는 나라입니다. 그러나 막상 도착해 생활을 시작하면 예상치 못한 어려움 중 하나가 바로

Read More »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