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은 헬조선? NO! 헬뉴질랜드!

최근 조사결과에 의하면 뉴질랜드 전국 주거용 부동산 가격 평균이 1백만불에 근접했다고 합니다. 1M 뉴질랜드 달러는 한화로 약 8억원입니다.

한국의 월세 개념인(하지만 방 외에 생활공간을 공유해 월세보다 열악한) 플랫 비용은 주당 200불(한화 16만원) 월 800불(한화 64만원)을 상회하고 있으며 이는 전기세 물세 인터넷 비용 등 공과금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뉴질랜드에는 전세 제도가 없고 집을 임차하려면 월세를 지불해야 하는데 방 두개 기준 주당 450불(한화 36만원) 이상을 지불해야 합니다. 월세로 환산하면 1800불(한화 144만원) 입니다. 렌트비를 감당하며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 시간당 임금 $25불, 연봉으로 환산하면 $52000(한화 연봉 4160만원) 이상을 벌어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현재 뉴질랜드의 최저임금은 $20불 입니다. 젊은 청년이 부모의 도움 없이 내집을 마련하기 위해 종자돈을 모으기가 한국보다 훨씬 어려운 형편입니다. 결국 맞벌이 커플이 종잣돈을 모으기 위해 경제력을 합치지 않으면 집을 구입하기 어렵습니다.

기존에는 집을 구입하기 위해 20%의 종잣돈이 필요했으며 그것도 렌트값을 감당하며 모으기 힘들었는데(예를 들면 5억짜리 집 20% 1억) 금리가 상승하고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서 그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조건도 까다로워지기 시작해 청년들의 첫집 구매를 더욱 힘들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른 글들

헤이피버로 고통을 겪는 한인 적지 않아

뉴질랜드는 깨끗한 자연환경과 청정국가라는 이미지로 잘 알려져 있어 많은 한인들이 조기유학이나 이민을 선택하는 나라입니다. 그러나 막상 도착해 생활을 시작하면 예상치 못한 어려움 중 하나가 바로

Read More »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