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우랑가 렌트 플랫 품귀현상

현재 타우랑가는 렌트와 플랫 찾기가 어려운 품귀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해외에 있던 뉴질랜드 국민들이 코비드19의 영향으로 귀국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원래 렌트 구하기 어려운 곳으로 알려진 타우랑가는 렌트를 살던 임차인(tenant)이 렌트 구하길 포기하고 플랫으로 이동하면서 플랫까지 구하기 어려운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타우랑가 전 지역은 물론 타우랑가 외곽 지역까지 이런 현상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플랫이란 집의 방 하나에 세를 들어가고 거실과 주방을 공유하는 주거 형태입니다.

한 건설사에서는 1년전 파이스파에 700k 하던 3 침실 2 화장실 하우스를 820k에 판매하고 있으며 타우랑가 전 지역의 집 가격이 매우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최근 몇년간 타우랑가는 주택공급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공급이 수요를 쫒아가지 못하는 형편입니다.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