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비드 백신 접종 기피 많아

뉴질랜드에서는 현재 코비드 바이러스 취약층과 관련 업종에 근무하는 노동자를 위주로 우선 백신을 접종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정부에서는 충분한 양의 백신을 확보하였고 화이자 제품의 경우 임상 테스트에서 95%의 항체 생성율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런데 백신의 부작용에 대한 루머가 퍼지면서 백신 접종을 기피하는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백신 접종 후 사망에 대한 소식들이 기사화되면서 혹시라도 같은 피해를 입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고령층 위주로 퍼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백신을 접종하러 오지 않아 백신 여유분이 발생하면서 사전 신청 없이 백신 접종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1차 2차 접종 대상이 아니었던 사람들이 원래 백신 접종 대상자의 노쇼로 인해 사전 예약 없이 방문해 백신을 접종을 받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에 대상자

1. 국경 관리와 격리 구역 담당자 (접종 진행 중)

2. 고위험 노동자와 고위험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 (접종 진행 중)

3. 코비드19 고위험군 (5월부터 접종)

4. 모든 사람 (7월부터 접종)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