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추가된 여행 제한 예외

현재 뉴질랜드는 코로나의 영향으로 뉴질랜드 시민과 거주자를 제외한 모든 여행을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백신이 출시되고 주요국의 백신 접종율이 올라가면서 뉴질랜드 정부는 여행 허용을 위한 가능한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에 일환으로 뉴질랜드 정부는 호주 뉴질랜드간 타즈만 버블을 만든데 이어 이번에는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의료 종사자나 고급 인력이 가족과 같이 생활할 수 있도록 예외를 허용하는 정책을 4월3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고급 인력들은 임시 비자 소지자여야 하며 비자 유효 기간이 12개월 이상 남아있어야 하고 그 가족은 원래는 뉴질랜드에 거주했지만 잠시 해외에 나갔다가 국경이 막히면서 못 들어온 경우나, 이미 가족이 뉴질랜드 국내에 체류하고 있고 남은 가족 역시 뉴질랜드에 이주할 계획이 있었던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이런 비자 유예는 아주 작은 변화이지만 주요국의 백신 접종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2022년 중반 정도에는 다시 여행이 자율화 될 것이라는 희망을 갖게 합니다.

Photo by Mitchel Lensink on Unsplash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