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유국 영국의 기름부족 사태

산유국 영국에서 주유소에 기름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원인은 기름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주유소에 기름을 운반할 트럭 운전기사의 숫자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유럽 출신 이민자가 주를 이루고 있는 트럭기사 인력이 브렉시트 이후 영국 비자를 얻을 수 없어 일자리를 포기하고 다른 나라로 이동했고, 비자를 얻어 계속 동일한 업무를 수행해도 국경을 지날때마다 EU국가가 아닌 영국으로 갔다가 나오기 위해 소요되는 절차와 시간이 길어지면서 업무 시간내에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주유소에 기름이 부족해서 차를 가지고 주유소 탱크가 비기 전에 기름을 넣으려는 운전자들로 길에 긴 줄이 늘어서 있다고 합니다.

그외에도 다양한 업종 특히 이민자 출신들이 주를 이루던 서비스 업계에 인력 부족이 심각하다고 합니다. 많은 업체들이 임금을 올려도 직원을 구할 수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뉴질랜드도 최근에 코로나(코비드19)로 인해 해외 인력수급이 불가능해지면서 많은 업체들이 어려운 상황에 빠졌습니다. 이민의 문턱을 높이는 정부의 정책과 끝도 없이 치솟는 렌트가격, 생활물가의 상승으로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는 한인들의 숫자도 점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