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범죄 관련 뉴스 증가

최근 뉴질랜드 뉴스에 총기나 흉기 사고에 대한 소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에서는 등록하면 총기소유가 합법입니다.

작년엔 오클랜드에서 총기로 인한 범죄가 발생해서 사망자가 나왔고 최근엔 더니든 버스정류장에서 칼에 찔려 한명이 병원으로 후송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갱단간의 다툼에서도 총기와 칼 같은 흉기가 계속되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경찰은 지속적으로 단속을 하고 총기를 압수하고 있지만 역부족입니다. 정부에서는 경찰 인력을 증원한다고 공약했으나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타우랑가에서도 디어리(한국의 작은 동네 슈퍼마켓)가 강도를 당하는 사건이 여러번 발생했고 베이페어 쇼핑몰에서도 보석상에 강도가 대낮에 들어 18세 범인이 검거되었고 동일 범죄에 연루된 다섯명의 혐의자를 경찰이 찾고 있습니다.

물가가 상승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각종 범죄까지 발생하면서 서민들의 불안함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