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최대 10만 명의 신규 이민자 전망

통계청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뉴질랜드로의 이민이 여전히 기록적인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 몇 달 안에 연간 순 이민자 수가 10만 명을 돌파할 수 있어 보입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은 7월까지 한 해 동안 96,200명의 순이민 증가가 기록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뉴질랜드 시민이 아닌 사람들의 순이민과 이민 환경의 변화로 인한 것 입니다.

주택 시장에 대한 압력도 커질 것입니다. 지금도 이민자와 에어비엔비 사업자의 증가로 렌트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며 렌트 가격도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현재 오클랜드에서 학군이 좋은 지역의 경우 3침실 기준 주당 800불(약 64만원) 월 3200불(약 256만원) 이상을 지불해야 집을 구할 수 있습니다.

주거용 주택의 거래건수도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지난 1년간 고금리로 인해 집값 평균이 하락했지만 여전히 인기있는 주거용 주택의 경우 가격 하락이 적고 이미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는 언론이나 부동산 업체, 은행 발표도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선거 결과 역시 앞으로 주택시장과 이민자의 증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 입니다.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