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구인난 심화

Photo by Artem Podrez from Pexels

코로나로 국경이 막히고 이민이 어려워지면서 구인난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뉴질랜드만의 현상이 아니라 이민자로 인력을 수급하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는 퇴직자가 역대 최고의 숫자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최저임금을 받는 포지션은 지원자가 거의 없는 상황입니다. 시즌 별로 인력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업종은 임금을 올리고 있습니다.

현 집권 노동당의 정책으로 최저임금이 많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렌트값과 집값, 기름값, 생활물가가 급등하면서 최저임금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상황이 현실화 되었고 이로 인해 노동자들이 더 나은 직장으로 옮기거나 새로운 직장을 찾기 위해 교육기관에 입학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재택근무가 활성화되면서 근무환경이 빠르게 개선되었고 더 나은 근무환경을 찾아 이직하는 직장인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임시로 발급하는 특별영주권의 경우에도 많은 신청자들이 영주권 취득 후 대거 현재 직장을 떠나 이직을 하거나 평소에 원하던 학업을 위해 학교에 입학할 것으로 예상되어 저임금 직업군의 구인난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글들

헤이피버로 고통을 겪는 한인 적지 않아

뉴질랜드는 깨끗한 자연환경과 청정국가라는 이미지로 잘 알려져 있어 많은 한인들이 조기유학이나 이민을 선택하는 나라입니다. 그러나 막상 도착해 생활을 시작하면 예상치 못한 어려움 중 하나가 바로

Read More »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