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질랜드 청년층의 호주 이동이 이제는 단순한 체감이 아니라 통계로도 확연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약 7만3천 명이 뉴질랜드를 떠났고, 그중 돌아온 인원은 2만6천 명에 불과합니다. 특히 18세에서 30세 사이의 청년층이 전체 출국자의 38%를 차지하며, 인구 유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호주는 임금 수준이 뉴질랜드의 거의 두 배에 달하고, 장보기 등 생활비는 오히려 더 저렴합니다. 주거비는 비슷한 수준이지만 전체적인 지출 부담이 크게 줄어, 호주로의 이주는 곧바로 ‘삶의 여유’로 이어집니다. 이 격차는 뉴질랜드 직장인들에게 체감적으로도 매우 큽니다. 현재 많은 이들은 월급에서 월급으로 이어지는 빠듯한 삶을 살고 있으며, 아이를 키우는 젊은 세대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고 말합니다.
여기에 정치적 요인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국민당 중심 우파 연합 정부 출범 이후, 뉴질랜드가 젊은 세대에게 뚜렷한 경제적 미래와 계층 상승의 사다리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노동당 정부 시절 청년·무주택층의 주거 사다리 역할을 했던 첫 주택 보조금 폐지는 ‘내 집 마련 가능성’을 크게 낮추며 청년층의 희망을 약화시킨 결정적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경제 구조 역시 청년층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의 1차 산업과 대형 은행들은 여전히 막대한 이익을 내고 있지만 고용을 확대하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자동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감원을 선택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경제는 성장하지만 일자리는 늘지 않는 ‘고용 없는 성장’이 고착화되고, 청년층은 그 성과의 혜택을 체감하지 못한 채 더 높은 임금과 더 넓은 기회를 찾아 해외로 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청년층의 대규모 해외 유출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을 넘어, 뉴질랜드 경제 구조가 젊은 세대에게 무엇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지 묻는 경고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지금의 흐름이 계속된다면, 뉴질랜드는 미래 산업의 핵심이 될 인적자본을 장기적으로 잃게 될 위험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