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유학 필요한가?

많은 한인 부모님들이 뉴질랜드나 다른 영어권 국가로 아이들을 조기유학 보냅니다. 하지만 현지에 나와 보면 외국에 나온다고 자연스럽게 영어가 늘지는 않는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학교 공부를 하면 영어가 늘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 부족하고 대개는 친구들과 어울리면 영어스킬이 빠르게 향상됩니다.

예전에는 뉴질랜드에 와서 친구를 만들기가 쉬웠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제는 많은 이민자들이 정착하고 생활하다보니 예전처럼 외국인에게 호의적이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원래 성격이 밝고 외향적인 학생들도 학교 반을 배정받을때 좋은 친구들을 만나지 못하면 친구를 사귀기가 쉽지 않습니다.

내향적인 학생들은 조기유학을 와서 목적을 달성하고 돌아가려면 부모가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학교에 가서 선생님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다른 학생들 부모와의 소통에도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차라리 국제학교를 보낸다면 비슷한 상황의 다양한 국적 학생들과 어울리며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할 수 있겠지만 학비도 매우 비싸고 입학 조건이 까다로운 경우도 많습니다.

부모와 따로 혼자 온 학생들의 경우 탈선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유학원에서 관리를 신경 써 주지만 사춘기 학생들을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외국 조기유학을 혼자 다녀와서 영어를 거의 못하는 학생들도 있습니다.

아이를 조기유학을 보내기로 마음 먹었다면 부모가 철저하게 계획하고 매우 세심하게 신경을 써야 합니다.

다른 글들

집값이 더 올랐으면 좋겠다는 뉴질랜드 총리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럭슨 총리는 최근 인터뷰에서 “집값은 완만하고 일관되게 상승해야 한다”며 투기적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적 성장을 통해 경제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집값은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오클랜드와 웰링턴은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크라이스트처치와 퀸스타운에서만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중앙은행은 최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3%로 낮췄고, 이에 따라 시중은행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내렸습니다.  그러나 실제 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에 가깝습니다.문제는 이러한 “집값 하락” 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래량 자체가 줄어들어 매물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는 일부 저가 매물 거래만 반영돼 가격이 떨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청년층과 무주택자에게는 살 수 있는 집이 줄어들었을 뿐이며, 구매 기회는 오히려 더 악화되었습니다. 즉, 지표상 하락이 곧 체감 가능한 주거비 완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청년층이 처한

Read More »

뉴질랜드 취업시장 매우 어려워

뉴질랜드가 공공부문 감축과 해외 이주 증가로 고급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한때 ‘이민 천국’으로 불리던 명성은 퇴색하며, 경제와 사회 전반에 부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1년 동안 해외로 떠난 사람은 13만 1223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8만여 명이 자국 시민권자였으며, 그 중 약 40%는 18~30세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떠난 이들 중 약 3분의 1은 호주로 향했으며, 호주의 주당 평균 임금이 뉴질랜드보다 약 30% 높아 청년층의 영구 이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Read More »